이 포스팅은 2016년 9월 16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추석 특집으로
구르미 그린 달빛 특별편이
방영되는 걸 보게 됐습니다.
검색을 하니
한 나라의 세자가, 내시와 사랑에 빠졌다! 츤데레 왕세자 이영과 남장 내시 홍라온의 예측불허 궁중위장 로맨스
라고 소개가 되어 있었습니다.
이 드라마는 소설이지만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소설이에요.
소설, 즉 허구이긴 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알고 보면 좋겠죠?
▲ 왕으로 나오는 이 인물은
순조입니다.
조선의 제23대 왕이에요.
드라마 홈페이지에는
순조의 소개가 이렇게 적혀 있네요.
결단력이 부족한 무기력한 왕으로, 너무 어린 시절 왕이 된 탓에 대비의 수렴청정과 외척의 등쌀에 유약한 군주가 되고 말았다. 세도정치에 대항하기 위해 애를 썼으나 홍경래의 난이 터졌고, 난을 진압했던 김헌 일파에게 모든 권력을 이양할 수 밖에 없었다. 그 후로 조선의 미래를 세자인 영에게 걸며 자신이 더 나약해지기 전에 모든 권리를 영에게 맡기기 위해 필사적으로 신하들과 싸운다.
제 개인적으로는
무기력한 왕이라기보다
외척이 너무 강했다고 생각해요.
수렴청정이란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성인이 될 일정기간 동안
왕대비나 대왕대비가
국정을 대리로 처리하던 것을 말합니다.
수렴청정과 세도정치, 외척은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외척이란 왕비 가문의 세력을 말하죠.
세도정치는
본래 긍정적인 의미로 쓰였으나
순조가 왕이었던 조선 후기에는
척신
(戚臣, 임금의 외척(外戚)이 되는 신하(臣下))
또는 총신
(寵臣,임금의 총애(寵愛)를 받는 신하(臣下))이
강력한 권세를 잡고
전권(專權, 권력(權力)을 휘두름)하던
정치 형태의 부정적 의미로 쓰였습니다.
결국 수렴청정, 세도정치, 외척은
왕권이 약하다는 뜻으로
모아지게 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순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6218&cid=40942&categoryId=33383)
▲ 숙의 박씨는
그대로 숙의 박씨라고 나오네요.
▲ 드라마에서는 명은공주로 나옵니다.
실제 인물은 명온공주.
실제로도 효명세자의 여동생이지요.
▲ 드라마에서 영은공주로 나옵니다.
실제 인물은 영온공주네요.
순조와 숙의 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공주입니다.
▲ 우리의 잘생긴 왕세자는
드라마에서
이영이라는 이름으로 나옵니다.
실제 효명세자의 이름도 이영이고,
효명세자는 익종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요.
다시 순조로 돌아옵니다.
실제 역사에서
순조는 1800년(정조 24)에
왕세자에 책봉되고
그해 6월에 11세의 나이로 즉위했습니다.
(정조가 어린 아들 걱정에
안동 김씨 김조순의 딸이자
훗날의 순원왕후(드라마의 중전 김씨)를
세자빈으로 초간택, 재간택했지만
최종 삼간택 전 승하함.)
영조비인 정순왕후가
순조를 대신해 4년간
국정을 처리했습니다.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거두니
순원왕후의 아버지인 김조순은,
그때까지 정순왕후와 함께
권력을 쥐고 있던 경주 김씨(벽파)를
대규모로 숙청하고,
시파(안동 김씨)를 등용했습니다.
이 대규모 숙청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출처:
위키백과 정순왕후 순조 시대
위키백과 순원왕후 생애
☞ https://ko.wikipedia.org/wiki/순원왕후
드라마에서의
▲ 김헌은 김조순이지만
가공된(?) 인물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드라마에서 김헌은 영의정이지만
실제 김조순은 영의정이 아니었습니다.
드라마 상의 김헌과 달리
실제 김조순은 권력에
욕심이 없던 인물이라고 합니다.
(요직이 제수될 때마다 사양하는 것으로 보아
권세를 누리기 위해 노력한 인물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효명세자와 안동 김씨의
대립은 사실이라고 하네요.
(시벽의 당파나 세도의 풍을
형성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둘러싼 척족 세력들이
후일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기반을 조성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드라마에서의
▲ 중전 김씨는
김헌의 딸로,
이영(박보검)의 생모가 죽고,
김헌이 세운 두 번째 중전이며
영이를 눈엣가시로 여기는
설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영의 생모는 중전 윤씨로
등장하게 되는데요.
드라마 상의 중전 윤씨, 중전 김씨는
역사상 동일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역사에서
김조순의 딸인 순원왕후 김씨는
효명세자의 친모이기 때문입니다.
(효명세자 이영은
순조와 순원(純元)왕후 김씨의 맏아들로
1809년(순조 9) 8월 9일에 탄생.)
드라마에서의
▲ 이 분들은
실제 역사의 안동 김씨 세력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드라마에서의
▲ 이 분은 조하연으로 나오는데요.
실제 인물로는 신정왕후가 되겠습니다.
드라마에서는 풍양 조씨의 세력이
크게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신정왕후는 풍양 조씨로,
1819년에 세자빈이 되었습니다.
풍양 조씨 세도의 발판이 되죠.
신정왕후는
1830년에 요절하는
효명세자와 달리(ㅠ.ㅠ)
1890년 82세까지 장수하여
추후 고종 때 수렴청정까지 하게 되네요.
▲ 드라마에서 조만형으로 나오시는데,
실제 인물은 조만영입니다.
신정왕후의 아버지 조만영은
딸이 세자빈에 간택된 뒤
요직을 두루 거쳤고,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했을 때는
이조판서와 어영대장을 겸임해
인사권과 군사권을 장악하는
막중한 권력을 갖기도 했습니다.
조만영은 효명세자가 붕어(돌아가신)한 뒤
안동 김씨에 밀렸지만,
요직을 계속 지키면서
풍양 조씨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습니다.
특히 조만영은
효명세자나 왕세손(헌종)의
신변 보호와 왕실 안전을 명분으로
오랫동안 군사권을 장악해
풍양 조씨 세도의
군사적 배경을 형성했다고 평가됩니다.
출처: 네이버캐스트 효명세자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7760
드라마가 풀어나가는 이야기가
효명세자가 왕세자로서 하는 활동
(+가상 인물들과의 삼각 로맨스)이라서,
그리고 요절하는 효명세자(ㅠ.ㅠ)라서,
아무래도 순조가 역사적 배경이 돼요.
연도별로 사건을 나열해 볼게요.
1800년(정조 24) 1월 |
세자(훗날 순조) 책봉 |
1800년(정조 24) 6월 |
정조 승하, 순조 즉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시작 |
1802년(순조 2) 9월 |
순원왕후(안동 김씨) 왕비 책봉 |
1803년(순조 3) 12월 |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실각, 김조순(안동 김씨)이 섭정 |
1804년(순조 4) |
순조의 친정 |
1809년(순조 9) |
유례없는 기근이 닥침 |
1809년(순조 9) 8월 9일 |
효명세자의 탄생 |
1811년(순조 11) |
홍경래의 난 |
~ |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
1819년(순조 19) 10월 11일 |
풍양 조씨 세자빈(훗날 신정왕후) 책봉 |
1827년(순조 27) 2월 (여기가 구르미 그린 달빛의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효명세자 대리청정 |
1830년(순조 30) 5월 6일 |
효명세자 요절...!!! |
알고 보면 드라마가 한층 더
재미있는 것 같아요.
역사도 알고
드라마도 재미있게 보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영(효명세자)에 대한 게 궁금하다면?
▼ 네이버캐스트 효명세자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77&contents_id=7760
▼ 네이버 지식백과 익종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6821&cid=46622&categoryId=46622
'SEARCH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성] MS WORD로 티스토리 글 작성/블로그 작성 (0) | 2016.10.06 |
---|---|
[정보성] 구글 애드센스 핀 번호 신청/등록 (0) | 2016.10.01 |
[정보성] 집에서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취득 신청하기 (0) | 2016.03.17 |
[커피] 커피에 관한 다섯 가지 상식 (0) | 2016.03.09 |
[정보성]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초기 신고 방법 (0) | 2016.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