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생활정보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과목, 검정 수수료, 일정을 소개합니다

도미노@ 2015. 12. 15. 04:35



안녕하세요, 도미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정보처리기사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들입니다.


저도 올해 취득을 했습니다.

그래서 정보처리기사 소개를 선택했어요.



저는 세 개로 구분해서

순서대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1. 응시 자격 조건 체계

2. 기사 필기 시험

3. 기사 실기 시험


필기와 실기는

각각 과목, 검정 수수료, 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응시 자격 조건 체계


대부분은 시험을 본다 하면

산업기사나 기사 시험을 봅니다.


하지만 산업기사, 기사 외에

다른 자격도 있다는 사실!


국가기술자격제도에는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5개의 자격이 있습니다.



오픈백과 santalsm 님의 글에 따르면


학력이 가미된 것은

기능사-산업기사-기사-기술사


기능과 실무적인 것은

기능사-산업기사-기능장

체계라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의 검정 기준을 보면

이해가 잘 될 것 같습니다.


자격 등급

검정 기준 

기술사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고도의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에 입각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조사, 시험, 시공, 감리, 진단, 사업 관리, 기술 관리 등의 기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기능장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최상급 숙련 기능을 가지고 산업 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 훈련, 경영 계층과 생산 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기사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공학적 기술 이론 지식을 가지고 설계, 시공, 분석 등의 기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산업 기사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기술기초이론지식 또는 숙련 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기능사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숙련 기능을 가지고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정비, 채취, 검사 또는 직업 관리 및 이에 관련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내 자격이 어디에 해당하는지,

내가 앞으로 어떤 자격을 취득할 것인지

미리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 그림은 큐넷 캡처입니다.)








2. 기사 필기 시험



원서는 인터넷으로 접수합니다.

큐넷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하는데요.

미리 반명함판 사진 파일(jpg)

준비하면 편합니다.



선착순으로

본인이 원하는 시험장을 고를 수 있으니

고생해서 멀리 가지 마시고

일찍 신청하세요!


http://www.Q-net.or.kr




필기 시험 과


데이터베이스

20점

전자계산기구조

20점

운영체제

20점

소프트웨어공학

20점

데이터통신

20점


총 5개의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과목당 20문항,

총 100문항입니다.


과락이라는 게 존재해서

한 과목당 40점(8문항) 이상,

5과목 평균 60점(총 60문항)

넘어야 합격입니다.





필기 검정 수수료

필기는 19,400원입니다.





필기 일정


기사는 1년에 네 번 시험이 있습니다.

4회차 중에 4회 다 보는 기사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정보처리기사는 3회차까지

일정이 있습니다.



2015년 일정입니다.

2016년에도, 앞으로도

시기는 비슷할 것 같으니

시험을 보실 분은 까먹지 말고

1월 말, 4월 말, 7월 말

알림 설정하세요!


회차

원서 접수

시험일

1회

01/30(금)~02/05(목)

03/08(일)

2회

04/24(금)~04/30(목)

05/31(일) 

3회

07/24(금)~07/30(목)

08/16(일)








3. 실기 시험


실기 시험 과목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

(이름 바뀌기 전, 알고리즘)

30점

5~6문제

(문제당 6점 혹은 5점)

DB 설계, 구축 및 관리

30점

5~6문제

(문제당 6점 혹은 5점)

업무 프로세스 재설계 수행

20점

4~5문제

(문제당 6점 혹은 5점)

신기술 동향

10점

5문제 (문제당 2점)

전산 영어 실무

10점

5문제 (문제당 2점)


한 과목당 40개의 보기를 주고,

맞는 답을 찾아

OMR 카드에 마킹하면 됩니다.


사실 보기는 의미가 없습니다.

주관식이나 다름없어요.


(답이 R+S 라면

보기에 R, R+C, R+1 R-1, R-S 등이

도사리고 있어서 유추 불가능....)



실기는 과락이 없습니다.

모두 다 합해서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맞으면

합격입니다.



대부분 그러실 테지만

제 전략은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를

최대한 만점을 받자,

그리고 나머지는 안전빵(?)으로

가볍게 공부하자!

였습니다.


알고리즘과 데이터베이스를

제외한 과목은

범위가 정해진 게 없어서

따로 공부하기 어렵더라고요.





실기 검정 수수료

실기는 22,600원입니다.





실기 일정


실기도 2015년 기준입니다.

접수 기간이 4일로, 상당히 짧으니

놓치지 않게 주의하셔야 합니다.


회차

접수 기간

시험일

1회차

03/23(월)~03/26(목)

04/19(일)

2회차

06/15(월)~06/18(목)

07/12(일)

3회차

08/31(월)~09/03(목)

10/04(일)






모쪼록 자신의 앞길에

유용한 포스팅이길 바랍니다.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